1. 사용 데이터
-행정경계(읍면동):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 / SHP파일

-토지이용현황(창원):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 / SHP파일

2. 분석과정
1) 전국 읍면동 지도에서 창원시의 읍면동만 추출하기
-읍면동 속성테이블 내의 BJCD(법정동 코드 이용)
-창원시의 법정동코드 앞의 5자리는 48121(창원시 의창구), 48123(창원시 성산구), 48125(창원시 마산합포구), 48127(창원시 마산회원구), 48129(창원시 진해구)로 이루어짐
-따라서 표현식을 "BJCD" >= 4812100000 and "BJCD" < 4813000000 으로 하여 객체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창원시의 읍면동만 선택됨


-이제 선택한 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면 창원시의 읍면동만 있는 SHP파일이 생성됨


2) 창원시 토지이용현황도에서 침엽수림, 활엽수림, 혼합수림만 추출
-토지이용현황도와 함께 다운받은 토지이용현황도_분류항목(코드)에서 침엽수림(2210), 활엽수림(2220), 혼합수림(2230) 코드를 확인

-표현식을 각각 "UCB"=2210, "UCB"=2220, "UCB"=2230으로 하여 침엽수림, 활엽수림, 혼합수림만 추출

3) 잘라내기를 사용하여 창원시 읍면동 내의 수림만 잘라내기
벡터 > 지리 정보 처리 도구 > 잘라내기
입력레이어: 창원시 읍면동 / 중첩레이어: 창원시 침엽수림


회색 부분인 실행의 산출물로 전체 침엽수림 중 창원시 읍면동 내부에 있는 부분만 선택됨
나머지 수림에 대해서도 잘라내기를 실행하고 산출물을 저장해주면 읍면동별 침엽수림, 활엽수림, 혼합수림 잘라내기는 완료

4) 읍면동별 침엽수림, 활엽수림, 혼합수림의 면적 계산하여 열 추가하기
수림별로 추출한 각 레이어의 속성테이블 > 필드 계산기에서 $area를 통해 면적을 계산한 열을 추가


5) 면적을 계산한 열을 읍면동 레이어에 결합하여 저장
창원시읍면동 레이어에서 속성 > 결합 > +버튼
-결합 레이어는 읍면동별로 잘라내기한 각 수림의 레이어를 선택
-결합필드와 대상필드는 각 레이어의 유일한 값인 UFID 또는 BJCD 선택
-결합된 필드는 면적을 계산한 열만 선택
-사용자 정의 필드명 접두어는 결합시 열 앞에 붙는 이름으로 있으면 복잡해지므로 공백으로 설정

6) 결과
창원시읍면동 레이어의 속성 테이블을 열어 확인하면 다음과 같이 면적을 계산한 열이 포함되어 있음
